야뇨(Nocturia)(2): 야뇨의 진단과 야뇨(Nocturnal polyuria)의 정의

이전 글에서 야뇨(Nocturia)에 대한 정의와 왜 위험한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다.https://blog.naver.com/kkm1004ok/223154399961

야간뇨(Nocturia)의 정의와 위험성 “자고 있다가 소변을 보기 위해 눈을 뜬 적이 있는가? 그런 이유로 잠을 잘 못자서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다… blog.naver.com

오늘은 이런 야간뇨를 어떻게 진단하는지 알아보자.2023 EAU guideline, Non-neurogenic Femal LUTS を参照した。

1. Evaluation of nocturia 야간뇨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을 너무 많이 마셔서 밤에 소변이 자주 보고 싶어서 잠에서 깰 수도 있고 수면에 문제가 있어 잠이 안 와서 계속 화장실을 왔다갔다 할 수도 있고 실제로 방광 용적이 작아 소변을 자주 보기 때문일 수도 있다.이에 EAU Guideline에서는 다양한 검사와 History 등을 통해 크게 다음과 같이 4가지 정도로 임상적으로 나눈다.

야간뇨를 유발할 수 있는 생리적 이상에 근거한 야간뇨 임상분류-24시간 다발뇨-야간다뇨-방광용량 저하-수면장애

즉 원래 소변량이 많아 소변을 자주 보고 새벽에도 일어나는 사람인지, 밤에만 소변이 많이 나오는 사람인지, 블라더 캡시티에 문제가 있는 사람인지, 수면장애가 있는 사람인지를 크게 분류하는 것이다.이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의 진료와 검사가 필요하며 앞으로 Evaluation을 위한 중요한 항목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1) History taking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당연히 환자의 과거력과 병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야간뇨는 비뇨의학과 문제 외에도 다른 문제로 생기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 등을 배제할 수 있어 중요하다. 보통 다음과 같은 내용을 듣는다. (아마 의대생때도 똑같이 배웠을거야.)

History taking 약은 평소에 먹는 것이 있는지, 원래 수면장애가 있었는지, 평소에 물은 어느 정도 먹는지, 야간뇨뿐만 아니라 낮이나 평소에도 하부요로증상(LUTS)이 있었는지, 내분비내과적 질환이나 신장내과적 질환이 있었는지(다뇨 등 감별)(남성의 경우) 전립선 질환이 있었는지………

2)Questionnaire(설문)Nocturia에 관련된 Questionnaire를 쓰게 하고 문제를 포착할 수도 있다.전립선 비대증 환자로부터 듣고 IPSS 같은 설문지처럼, 야간 소변에도 ICI questionnaire-Nocturia, Nocturia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N-QoL), Nocturia impact diary, SCREEN tool등 다양한 설문지가 있다.이는 의사마다, 혹은 병원마다 사용하는 것이 다를지도 모른다.

출처 : 설문조사 예 – ICIQ-NQL

3) Bladder diary(배뇨일지) Bladder diary는 야간뇨 환자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자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소변을 보는 것이 불편한 정도, 야간에 소변을 얼마나 보고 그것이 얼마나 불편한지는 결국 환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를 객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다음은 대한비뇨의학회가 배포한 배뇨일지 양식이다.

츄르처: 대한비뇨의학회 – 배뇨일지

더욱이 자신이 소변을 본 시간대에 소변량을 기록하는 것이다. 배뇨일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비뇨 상식 카테고리에서 좀 더 자세히 다뤄본다.Bladder diary를 통해 우리는 하루에 얼마나 소변을 보는지, 야간에는 소변을 얼마나 보는지 체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뇨(Polyuria)를 감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뇨(Polyuria), 그리고 야간다뇨(Nocturnal polyuria)의 정의를 아는 것은 야간뇨 진료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포인트일 것이다.EAU guideline에서는 다음과 같이 Polyuria와 Necturnal polyuria를 정의하고 있다.24hr-Polyuria 24시간 소변생산량>40mL/kg –>24간안 의동 kg ➆ 40ml — 이 진단의 역치는 수면 중에 생성되는 24시간 소변량의 20%(젊은 사람)부터 33%(65세)까지의 범위이다.이에 EAU guideline에서는 위 내용을 종합하여 야뇨진단에 대해 다음과 같이 권고하고 있습니다.2023 WAY GUIDELINE, 비신경유전자 여성용 뿌리EAU guideline에서는 앞서 필자가 말했듯이 다른 질환도 감별하기 위해 Renal function, Thyroid function, 당뇨(HbA1C) 검사 등도 함께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Nocturia를 어떻게 진료하고 진단해 나가는지 알아봤다.요약하자면, ‘-야간뇨에 대한 History taking과 Bladder diary가 진단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다뇨와 야간다뇨의 정의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야간뇨에 대한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위의 기본적인 내용이 머리에 있어야 환자에게 맞는 치료나 관리를 하는 데 착오가 줄어들 것이다.다음 시간에는 야간 소변 치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