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통계적 품질관리 완전무결(ZD) 운동허용불량률 표준편차에 대한 허용불량률 인정불량률을 허용하지 않는 강조점 원재료, 기계설비, 작업방법 등 품질의 물적 변동요인을 중시하는 기술, 작업의욕 등 품질의 인적 변동요인을 중시하는 주체품질관리 전문가전종업원 구분통계적 품질관리 완전무결(ZD) 운동허용불량률 표준편차에 대한 허용불량률 인정불량률을 허용하지 않는 강조점 원재료, 기계설비, 작업방법 등 품질의 물적 변동요인을 중시하는 기술, 작업의욕 등 품질의 인적 변동요인을 중시하는 주체품질관리 전문가전종업원

@QC서클(품질 관리 분임조)같은 작업을 작업자 가운데 참여를 희망하는 종업원이 정기적으로 모이고 제품의 품질 문제점을 분석하는 제안하고 종업원 간 자율 교육 향상의 효과와 참여 의식의 고취에서 종업원의 사기 및 팀워크를 증진시키고 성과를 높이려는 방법이다(논리적이고 수리적 표준 값에 대한 불량률의 인정, 올바른 작업하는 방법을 강조)<종합적 품질 경영>@종합적 품질 경영(Total Quality Management:TQM)의 기본 개념-품질 관리(quality control):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경제적으로 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동-품질 경영(quality management):최고 경영자의 품질 방침 아래고객을 만족 시키는 모든 부분의 전사적 활동-종합적 품질 경영(TQM):품질 경영(QM)+종합적 품질 관리(TQC)최고 경영자의 품질 방침에 따라서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품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 모든 조직 구성원이 참가하고 제품과 생산 공정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기업의 총체적인 전략이다(종합적 품질 경영은 단순한 프로그램이나 절차라기보다는 조직의 기본적 삶인 기업 문화인 기업 철학이다)*TQM과 전통적 경영의 차이
TQM 전통적 경영 – 고객에 초점 – 품질 우선 – 여러 품질 차원 – 경영자/직원의 헌신 노력 – 공정(process)지향적 – 경영(관리)에 초점 – 이익 우선 – 단일 품질 차원 – 직원의 헌신 노력 없음 – 결과(results)지향적 TQM 전통적 경영 – 고객에 초점 – 품질 우선 – 여러 품질 차원 – 경영자/직원의 헌신 노력 – 공정(process)지향적 – 경영(관리)에 초점– 이익 우선– 단일 품질 차원–직원의 헌신 노력 없음– 결과(results)지향적

구분 기존의 품질 운동 6 시그마 운동 측정 지표 % (불량률) 시그마 목표 설정 추상적, 정성적 구체적, 정량적 개혁 대상 문제점이 발생한 바 모든 프로세스 적용 범위 부분 최적화 전체 최적화 추진 방법 bottom-uptop-down 담당자 자발적 참여 중시 전임 요원 강조 기본 기법 P-D-C-A D-M-A-I-C 구분 기존 품질운동 6 시그마 운동 측정지표 % (불량률) 시그마 목표설정 추상적, 정성적 구체적, 정량적 개혁대상 문제점 발생시 모든 프로세스 적용 범위 부분 최적화 전체 최적화 추진 방법 bottom-uptop-down 담당자 자발적 참여 중시 전임 요원 강조 기본 기법 P-D-C-A D – M – A – I – C

6. D-M-A-I-C 방법론 6. D-M-A-I-C 방법론
단계 Define(정의)-프로젝트의 선정, 프로젝트의 정의, 프로젝트 승인 단계로 구성-문제점과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파악-고객의 요구를 바탕으로 핵심 품질 특성(CTQ)을 파악 Measure(측정)-성과 지표 Y를 결정-Y의 현 수준을 파악하고 잠재 원인 변수 X를 발굴-품질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다 Analysis(분석)-분석 계획 수립, 데이터 분석, vitalfewX를 선정하는 것, Y의 핵심 변수 중이며히스토그램을 써서 데이터를 탐색-브레잉스토ー밍그과 원인 결과 도표 등을 통하여 하자 원인 파악-산점도 같은 것을 써서 상관 관계를 증명 Improve(개선)-개선 방안 도출 최적 개선 방안 선정 개선 방안 검증-다양한 방법(브레잉스토ー밍그 등)을 사용하고 개선 아이디어를 도출-선정된 아이디어를 평가, 최적화 시험 적용-개선 방안의 실현 가능성을 판단 Control(통제)-개선 결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문서화 관리 계획 실행할 때 SPC관리 기법도 사용할 수
7. 린 생산방식과 6시그마의 비교 7. 린생산방식과6시그마비교
구분 인 방식 6 시그마 목표 생산 흐름, 낭비 제거로 생산성 향상 변동 감소, 결점 제거로 품질 향상 강점 리드 타임이나 사이클 타임 감소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품질 향상 한계점 프로세스를 통계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단독으로 프로세스의 속도 및 비용을 줄일 수 없음(결점 제거에만 초점을 두어 시간적 경쟁 우위가 없음) 인 6 시그마린의 빠른 생산성 향상 기법과 6 시그마의 통계적 품질 향상 기법이 잘 조화를 이루어 고객 만족, 프로세스 속도 개선, 비용 절감, 품질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구분 인 방식 6 시그마 목표 생산 흐름, 낭비 제거로 생산성 향상 변동 감소, 결점 제거로 품질 향상 강점 리드 타임이나 사이클 타임 감소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품질 향상 한계점 프로세스를 통계적으로 통제할 수 없는 단독으로 프로세스의 속도 및 비용을 줄일 수 없음(결점 제거에만 초점을 두어 시간적 경쟁 우위가 없음) 인 6 시그마린의 빠른 생산성 향상 기법과 6 시그마의 통계적 품질 향상 기법이 잘 조화를 이루어 고객 만족, 프로세스 속도 개선, 비용 절감, 품질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구분 효율적 공급망 반응적 공급망 수요 낮은 예측 오차 높은 예측 오차, 예측 불가능 경쟁 우위 요소 저비용 유연성, 고객화 신제품 도입 간헐적 빈번하고 빈번한 공헌이익 낮음 높은 제품의 다양성 낮음 높은 생산전략 재고생산전략, 표준화된 대량생산 주문생산전략 여유생산능력 낮음 구분 효율적 공급망 반응적 공급망 수요 낮은 예측 오차 높은 예측 오차, 예측 불가능 경쟁 우위 요소 저비용 유연성, 고객화 신제품 도입 간헐적 빈번하고 빈번한 공헌이익 낮음 높은 제품의 다양성 낮음 높은 생산전략 재고생산전략, 표준화된 대량생산 주문생산전략 여유생산능력 낮음
2. Hau Lee의 불확실성 프레임워크 2. Hau Lee의 불확실성 프레임워크
수요의 불확실성 저(기능성 상품) 고(혁신적 상품) 공급의 불확실성 저(안정적 프로세스) 효율적 공급망(식료품, 기본의류, 가스) 대응적 공급망(패션의류, 컴퓨터, 팝음악) 고(진화적 프로세스) 외험회피 공급망(수력발전, 일부식품) 민첩 공급망(텔레콤, 첨단컴퓨터, 반도체) 수요의 불확실성 저(기능성 상품) 고(혁신적 상품) 공급의 불확실성 저(안정적 프로세스) 효율적 공급망(식료품, 기본의류, 가스) 대응적 공급망(패션의류, 컴퓨터, 팝음악) 고(진화적 프로세스) 외험회피 공급망(수력발전, 일부식품) 민첩 공급망(텔레콤, 첨단컴퓨터, 반도체)
-효율적인 서플라이 체인:비 부가 가치 활동을 제거, 규모의 경제를 추구, 비용 효율성 달성-위험 회피 서플라이 체인:공급의 단절에 따른 위험을 회피 → 여러 공급자를 이용하면서 대체 가능한 공급자를 확보, 안전 재고 수준을 증가-대응적 공급망:고객의 유동적이고 다양한 니즈에 대응→ 주문 생산과 대량 고객화-재빨리 서플라이 체인:고객의 니즈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을 목표,재고와 다른 자원을 공동화(pooling)함으로써 공급 부족과 단절을 회피(위험 회피+대응적)@공급 사슬의 성과 측정-재고 척도를 중심으로-평균 총재치:재고 단가*수량-공급 날짜:평균 총 재고/연간 매출 원가*기간 재고 자산 회전율:연간 매출 원가/평균 총 재고 → 재고 자산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고 공급 날짜가 작아져야 한다@공급망 내의 물류 관리 1.물류 관리-제삼자 물류:수송을 포함 전체 물류 기능을 전문 물류 기관에 아웃 소싱 하는 일-인바운드 물류:제조 업체가 생산이나 조립 활동을 적시에 이뤄지도록 공급자가 공장이나 물류 센터에 부품이나 자재를 공급하는 프로세스-아웃바운드 물류:제품 및 장비를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에서 판매 및 마케팅 활동을 촉진하는 프로세스-로지스틱 고려 설계:제품 개발 초기 단계에서부터 로지를 고려한 설계를 적용하고 물류 비용의 최소화하는 공급 기능 2연쇄 배송
운송방식 장단점 고속도로(트래킹) – 거의 모든 지역에 배달이 가능한 유연성 – 운송시간도 좋은 편이고 적은 양과 짧은 거리의 운송에 운임이 적합한 철도의 낮은 운임 – 운송시간이 길다 – 변동성이 크다 수로의 낮은 운임으로 많은 양을 수송 – 운송속도가 매우 느리다 – 세계의 많은 지역이 수로에 접근하기 어려운 파이프라인 – 특정 액체, 가스 또는 현탁액 형태의 고체 수송에 사용 – 패킹이 필요 없고 운임도 저렴하다 – 초기 건설비용이 매우 높은 항공신속운임이 가장 비싸다 운송방식 장단점 고속도로(트래킹) – 거의 모든 지역에 배달이 가능한 유연성 – 운송시간도 좋은 편이고 적은 양과 짧은 거리의 운송에 운임이 적합한 철도의 낮은 운임 – 운송시간이 길다 – 변동성이 크다 수로의 낮은 운임으로 많은 양을 수송 – 운송속도가 매우 느리다 – 세계의 많은 지역이 수로에 접근하기 어려운 파이프라인 – 특정 액체, 가스 또는 현탁액 형태의 고체 수송에 사용 – 패킹이 필요 없고 운임도 저렴하다 – 초기 건설비용이 매우 높은 항공신속운임이 가장 비싸다
3. 창고관리 ① 전방배치와 중앙집중적 배치 3. 창고관리 ① 전방배치와 중앙집중적 배치
전방 배치(forward placement) 중앙 집중적 배치(centralized placement) – 재고를 고객 가까이에 둘 것 – 고객 요청에 신속하게 대응 – 운송 비용 절감 – 대량 운송을 통한 물류 절감 효과 – 거점(지역별 물류센터)마다 안전 재고를 보유하고 재고 수준 상승 – 재고를 한 곳에 중앙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직접 각 고객에게 제품을 운송하는 방식 – 지역별 수요 변동성이나 불확실성이 클 경우 적합 – 재고 공유 효과(inory pooling) 중 하나의 수요 감소하는 리스크가 통합된 전방 배치(forward placement) 중앙 집중적 배치(centralized placement) – 재고를 고객 가까이에 둘 것 – 고객 요청에 신속하게 대응 – 운송 비용 절감 – 대량 운송을 통한 물류 절감 효과 – 거점(지역별 물류센터)마다 안전 재고를 보유하고 재고 수준 상승 – 재고를 한 곳에 중앙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직접 각 고객에게 제품을 운송하는 방식 – 지역별 수요 변동성이나 불확실성이 클 경우 적합 – 재고 공유 효과(inory pooling) 중 하나의 수요 감소하는 리스크가 통합된
PERTCPM 확률적 모형 (낙관, 최빈, 비관) 확정적 모형 베타분포 가정 확정적 데이터 제공비 반복사업, 경험 없는 사업 반복사업, 경험 있는 사업 PERTCPM 확률적 모형 (낙관, 최빈, 비관) 확정적 모형 베타분포 가정 확정적 데이터 제공비 반복사업, 경험 없는 사업 반복사업, 경험 있는 사업
*PERT는 시간과 관련된 문제이고 CPM은 시간과 비용과 관련된 문제였으나 오늘날은 통합되어 모두 시간과 비용을 통제하기 위한 절차로 사용된다 3. 네트워크 종류 – AOA 네트워크 : 활동을 화살표(arc) 위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 AON 네트워크 : 활동을 절(node) 위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4. 가장 빠른 예상 단계 시간(TE)과 가장 낮은 허용 단계 시간(TL)의 비교 *PERT는 시간과 관련된 문제이고 CPM은 시간과 비용과 관련된 문제였으나 오늘날은 통합되어 모두 시간과 비용을 통제하기 위한 절차로 사용된다 3. 네트워크 종류 – AOA 네트워크 : 활동을 화살표(arc) 위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 AON 네트워크 : 활동을 절(node) 위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4. 가장 빠른 예상 단계 시간(TE)과 가장 낮은 허용 단계 시간(TL)의 비교
TE(The Earliest expected event time) TL(The Latest expected event time) 먼저 계산 후에, 전 단계 TL = 후 단계 TL – 활동 시간 여러 개의 값 중 큰 값 여러 개의 값 중 작은 값의 첫 단계 TE = 0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마지막 단계 TL = TE(The Earliest expected event time) TL(The Latest expected event time) 먼저 계산 후에, 전 단계 TE
구분 내용 테마 지향성(subject-orientation) 데이터를 테마별로 구성함으로써 최종 사용자나 전산에 취약한 분석자도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유지 통합성(integration) 데이터가 DW에 들어갈 때에는 일관된 형태로 변환되어 데이터의 통합성이 유지되는 time-variancy DW에는 과거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를 모두 보유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의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비휘발성(nonvolatilization)인 시점에 데이터가 적재되면 데이터 갱신이 발생하지 않는 조회 전용데이터이다 구분 내용 테마 지향성(subject-orientation) 데이터를 테마별로 구성함으로써 최종 사용자나 전산에 취약한 분석자도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유지 통합성(integration) 데이터가 DW에 들어갈 때에는 일관된 형태로 변환되어 데이터의 통합성이 유지되는 time-variancy DW에는 과거 데이터와 현재 데이터를 모두 보유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의 시계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비휘발성(nonvolatilization)인 시점에 데이터가 적재되면 데이터 갱신이 발생하지 않는 조회 전용데이터이다